My bookmarks

3) 교역자가 가져야 할 자세

① 교역자는 공적(公的)이어야 한다

 천 사람 이상을 거느리는 사람은 영계의 감정을 받고 세워진 사람입니다. (18-223, 1967.06.09)

 자신을 갖고 책임자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선생님도 내가 자신 있다고 생각한 적이 없습니다. 자신에 앞서 하나님이 좋아서, 하나님이 찾아가는 그 사람을 좋아해야 할 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 심정을 어떻게 갖고 나서느냐 그게 문제였습니다. 그 심정만 통하면 안 되는 것이 없습니다. 좋아하는 사람을 좋게 하고 슬픈 사람을 위로할 수 있는 마음이 있어야 된다는 것을 알아야 됩니다. (70-170, 1974.02.09)

 참목자는 자기가 참목자라고 하지 않습니다. 어느 때나 묵묵히 하나님의 뜻과, 모든 만상을 자신의 마음에 품고 나아갈 뿐이지 자신의 입장을 변명하지 않습니다. (3-210, 1957.11.01)

 공적인 일을 위해 피곤한 줄 모르고 뛰다 언제 자는지 모르게 축 늘어져 자고 아침에 일어나면 몸이 얼마나 거뜬한지 모릅니다. 그런 것을 보게 되면 '야, 하늘 길은 이렇게 가는 것이 원칙이로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지만 '아이고, 어저께는 세 시간밖에 못 잤으니 오늘은 다섯 시간, 여섯 시간은 자야 할텐데…'라고 생각하면서 잠을 자고 일어나게 되면 허리가 아프고 온 몸이 천근 만근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그런 생각을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44-160, 1971.05.06)

 책임자는 아무리 피곤해도 먼저 눕는 게 아닙니다. 다 뉘어 놓고 누워야 됩니다. 기도를 할 때에도 맨 나중까지 해야 하며, 신앙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도 못 먹고, 못 입고, 못 살면서 정성을 들여야 하는 것이 책임자의 입장입니다. 그렇게 하면 망하라고 해도 망할 수 없는 것입니다. (33-169, 1970.08.11)

 선생님은 정성 들이는 사람에게는 꼼짝 못합니다. 지금까지 교회를 지도해 나오면서 두 사람이 있으면 그 두 사람 가운데 누가 잘났느냐 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에는 얼굴이 잘난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어디로 향하느냐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즉, 사적이냐 보다 공적이냐 하는 것을 본 것입니다. (31-260, 1970.06.04)

 아침에 첫발을 내디딜 때에도 공적인 발걸음인지 사적인 발걸음인지 반성해야 됩니다. 그리고 하루의 일을 끝내고 자리에 누울 때 공적인 하루를 보냈는지 사적인 하루를 보냈는지 반성해야 합니다. 혹은 일년을 중심삼고 공적인 생활을 했는지 사적인 생활을 했는지, 일생을 중심삼고 공적이었는지 사적이었는지 반성해야 합니다. (39-76, 1971.01.09)

 공직에 있는 사람은 불쌍합니다. 있는 정성을 다 했지만 행여 뜻 앞에 실수를 해 나로 말미암아 천년 공적이 틀어지면 어떻게 될 것이냐? 그런 심정으로 생활하는 것입니다. (46-55, 1971.07.18)

 지나가는 세월과 더불어 흘러가선 안 됩니다. 새로운 날을 준비해 전진하는 무리가 되지 못하면 광야에서 독수리 밥이 됩니다. (135-279, 1985.12.15)

 우리는 역사적 개척자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개척자는 어려운 환경을 뚫고 내일을 향한 소망 앞에 준비태세를 갖추어 나가야 합니다. (1986.5.6)

 일단 책임을 지고 나면 다음에는 전투요 투쟁입니다. 네가 꺾이느냐, 내가 꺾이느냐 하는 싸움을 해야 됩니다. 그 싸움에서 여러분은 여러분 일대에 적어도 반대 입장에 있는 세 사람 이상을 자연 굴복시킬 수 있는 터전을 다져야 됩니다. (14-13, 1964.04.19)

 여러분은 우선 이론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되고, 그 다음엔 된다는 신념을 가져야 됩니다. 자기의 생각이 미치지 않고, 자기의 신념이 미치지 않으면 자기 것이 되지 못하고 남에게 빼앗기기 쉽습니다. 그러나 내가 실천을 해서 다져진 기반은, 뿌리를 단단히 박고 이룬 터전은 그 이상의 힘을 가하고, 그 이상의 신념을 가하기 전에는 절대 빼앗을 수 없습니다. (19-39, 1967.12.24)

 책임을 지기 전에 어떤 마음을 가져야 되느냐? 책임을 감당하지 못하면 생명과 바꾸겠다는 신념을 가져야 됩니다. 그렇게 되면 문제의 핵심을 해결하는 해결점이 생기게 됩니다. (19-142, 1968.01.01)

 '인간으로 할 수 있는 최대 노력을 다했습니다. 밤이나 낮이나 일체의 모든 마음, 지극 정성을 다 바쳤습니다.' 할 수 있는 자리, 하늘이 봐도 그 이상 할 수 없다고 하는 자리에서 떠나게 되면 그 사람이 그 자리에서 일을 다 못했더라도 일한 가치 이상을 하늘은 보답해 준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것을 알아야 됩니다. (56-33, 1972.05.10)

 교회장은 그 지방의 제사장입니다. 잠을 못 자면서도 복을 빌어 주어야 합니다. 뭇사람을 살려 주기 위해 제물(祭物)을 다루어야 하니 정성들이는 수고를 해야 합니다. 제사에는 실체(교회장)와 주인(하나님)이 하나(一體)되어야 응답이 있습니다. (9-80, 1960.04.12)

 제사는 누가 관리하느냐? 제사장이 관리합니다. 제사는 객(客)이 관리해선 안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적인 회합 자리를 중요시하지 않는다면 발전을 못합니다. (17-293, 1967.02.15)

 제물 앞에 선 제객(祭客)들은 머리를 숙여야 되는 것이 천법(天法)입니다. 그 제단에는 하나님이 임재하셔서 간섭하시는 것입니다. 심정적으로 오늘 이 제단 앞에 나는 정열과 모든 힘과 노력을 다 바친다 하게 될 때에는, 자기 일생에 없는 성심성의를 다해 가지고 입을 열 때는 하나님이 도와주시는 것입니다. (60-347, 1972.08.18)

 제물은 심각한 자리에서 바쳐지는 것입니다. 일생 동안 진탕 먹고 웃고 춤추며 살다가 무덤에 가면 복이 될 게 뭐 있어요? 그런 사람의 무덤에는 풀이 날 뿐이겠지만, 나라를 위해 피를 흘리고 죽은 사람의 무덤에는 그 나라가 살아 있는 한 꽃이 필 것입니다. (46-347, 1971.08.17)

 통일교회 선생 되기 쉬운 것이 아닙니다. 지극히 어려운 것입니다. 이것은 죄인같이 죄수의 옷을 입고 형장길을 걸어가는 그런 기분이지만, 가고 있는 사람입니다. 여러분은 형무소 생활 못 해봤기 때문에 모를 것입니다. 호화스러운 집에 살고 있지만 내가 그집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나는 초막에도 살 수 있는 사람입니다. 초막에도 살 수 있는 훈련이 돼 있습니다. 옷을 벗어 쥐고 노동판에 가면 일등 노동자가 될 수 있는 훈련을 한 사람입니다. 거기에 하나님이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내가 가서 붙들고, 환경을 전부 다 수습해 가지고 거기에서 눈물을 짓고 친구가 될 수 있는 이런 심정적 훈련을 한 사람입니다.
(85-43, 1976.03.02)

② 식구 지도는 정성으로

 교인(식구) 그리워하기를 첫사랑의 마음으로 해야 합니다. (1981.11.19)

 핵심요원은 밤을 새워서라도 정성을 들여 길러야 합니다. 그렇게 3일간만 정성들인다면 그 사람은 일생을 두고 잊지 못할 은혜의 인연을 맺습니다. 시간이 늦어 피전도자가 돌아가게 되더라도 전도자가 오히려 아쉬워하고 안타까워하면 영계에서 협조해 줍니다.

 먼저 자기 자신이 뜻에 취해야 그것이 상대방에게도 전달되는 것입니다.

 선생님이 식구를 기르기 위해 천신만고(千辛萬苦)하던 놀음을 여러분도 하라는 것입니다. 밤에 온 손님이 있거든 무릎 꿇고 하늘의 복을 빌어 주고, 낮에 온 손님에 대해서는 안방으로 초대해 자기 친척보다 더 반가운 손님으로 대해 주고, '우리 집은 이런 집이다.' 하는 가풍을 세우라는 것입니다. 그런 가풍을 세워 놓으면 그 사람들이 누구를 위하겠어요? 다른 사람 대접하는 전통을 가진 사람들이 교역자 밥을 굶기겠어요? 교역자에게 밥을 굶기고 복받겠다는 녀석들은 입에 모래알이 들어가야 된다는 것입니다. (60-308, 1972.08.18)

 밤을 새워 가며 이야기해도 재미있게 해야 됩니다. 밤 12시가 넘어 새벽 2시, 3시가 되었는데 '가면 좋겠다. 좀 자야 할텐데 …' 이런 마음 있으면 다 도망가는 것입니다. 새벽 3시, 4시가 되더라도 '안 갔으면 좋겠다. 시계가 멎었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 자리에 인연되었다가 가면 영(靈)은 압니다. 영(靈)은 미안해서 밥을 먹자마자 궁둥이가 돌아서려고 하는 것입니다. 선생님이 그런 일을 했습니다. (56-51, 1972.05.10)

 누구를 만나도 만난 그것으로 끝나서는 안 됩니다. 더욱이 하늘을 중심삼고 만난 사람이면 절대 그 인연을 잊어버려서는 안 됩니다. 교회에 나오다가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잘라버리거나 저주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떨어져 나갔다고 해도 그 사람과 맺었던 인연만은 버리지 말아야 합니다. (42-162, 1971.03.04)

 식구가 떨어져 나갔다고 낙망해서는 안 됩니다. 이상한 것은 한 식구가 나가면 그 사람과 성격도, 말하는 것도, 걸음걸이까지도 비슷한 사람이 들어옵니다. 어떤 면으로 보더라도 신기할 정도로 나간 그 사람과 너무도 닮은 사람이면서도 모든 면에서 월등히 나은 사람들이 들어옵니다. 그런 것을 볼 때, 정성들인 것은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42-162, 1971.03.04)

 만일 나쁜 것이 있으면 나쁜 것을 당장에 처리하지 말라는 겁니다. 나쁜 것이 있더라도 그 나쁜 것을 좋을 수 있는 조건을 찾아가면서, 나쁜 것을 보류해 가지고 처리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됩니다. 만일에 1년 전에 잘못된 것을 보고 잘라버렸다면 그 사람은 완전히 죽었겠지만, 1년, 2년, 3년 잘라버리지 않고 보류해 두어 그것을 가외로 생각하면서 처리하게 된다면 1년, 2년, 3년 이후에는 그 사람이 살 수 있는 길도 있는 것입니다. (72-313, 1974.07.14)

 새로 들어온 식구를 사랑하면 탕감조건을 빨리 세울 수 있습니다. 교회가 발전하지 못하는 원인은 식구들이 그렇게 하지 못하는 데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은 서로 사랑하고 화목하라고 하셨습니다. (18-40, 1967.05.15)

 교회 초창기 때 한국에서 식구 기를 때에는 잠도 자지 않았습니다. 일대일(一對一) 작전을 했습니다. 한 사람을 놓고 강의할 때 백 사람, 천 사람 놓고 강의하는 것과 같은 생각으로 했습니다. 그 한 사람에게 수천, 수만 명이 달려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무슨 명령을 해도 들을 수 있는 그러한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그만큼 정성들여 그럴 수 있는 동기를 만들어 주어야 됩니다. (96-284, 1978.02.13)

 여러분은 흠모의 심정을 지닌 식구들을 얼마나 만났어요? 선생님은 그런 사람 수두룩하게 만났어요. 땅 끝에서 찾아와 선생님께 경배하잖아요! 그건 왜? 선생님이 땅끝까지 사랑의 심정적 줄을 던졌기 때문에, 벌써 전기를 통해 봤기 때문에 방향을 안다는 겁니다. 그래야 됩니다. (171-30, 1987.12.05)

 지도자가 되려면 진정으로 병자를 치료하는 의사의 입장이 되어야 됩니다. 병든 사람의 심령 상태가 저하될 때에는 밤이나 낮이나 시간을 가리지 않고 더불어 눈물을 흘리면서 심령을 치료해 주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영적 지도자인 것입니다.
  여러분은 생명을 살려주기 위해 며칠 밤을 새워 봤느냐? 생명을 구하기 위해 얼마나 바쁜 걸음을 해 봤느냐? 그런 것이 앞으로 영계에 가면 표창의 대상이 될 것이고 인격적인 기준이 될 것입니다.
(69-165, 1973.10.31)

③ 남녀 문제와 공금에 엄격해야 한다

 남녀 문제에서 잘못되면 앞으로 용서가 없습니다. 용서보다도 하늘이 원치를 않습니다. 타락이 뭐예요? 성문제를 자아주관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 아니예요? 남자에게 있어 제일 문제가 의식주 문제, 성욕, 그 다음에는 물질에 대한 욕망, 욕심, 이런 것들이 죄악의 뿌리입니다. 그걸 주관 못하는 사람은 책임자가 못되는 겁니다. (194-87, 1989.10.17)

 남녀 문제가 큰 원수입니다. 이것이 세상을 망치고 천지법도를 어겼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자신이 없는 사람은 축복의 자리에 나가서는 안 된다는 말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그렇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여러분이 파탄시켜 저나라에서 걸리게 될 때에는 난 모릅니다. 내 책임이 아닙니다. 걸리는 날에는 벗어날 길이 없다는 겁니다. 이를 악물고라도 탈선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120-220, 1982.10.16)

 앞으로 남녀 문제에 대해서는 각별히 주의해야 되겠습니다. 남자나 여자나 둘이 좋아한다는 말 남기는 사람은 앞으로 절대 책임자가 못 됩니다. 그건 해주면 안 되게 돼 있습니다. (67-55, 1973.05.20)

 남녀 문제에 대해 확실히 해야 되겠습니다. 책임자는 이 원칙에 엄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오해받는다는 겁니다. 변명할 도리가 없습니다. 여기에서 한번 그 문제에 걸려버리면, 영원히 도리가 없는 것입니다. (66-226, 1973.05.12)

 종교 배후에는 언제나 남녀 문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신령한 집단이 반드시 남녀 문제에 부딪쳤습니다. 그거 왜 부딪치느냐? 해와가 타락할 때 자기 남편 아담과 천사장을 상대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끝날에 와 가지고 여자는 두 남자를 대해 선악을 판단하지 않으면 안 될 운명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남자가 종교에 입문하여 수도하게 되면, 남자에게 최후의 고개에서 미인이 나타나서 유혹하는 것입니다. 만일 거기에 넘어가는 날에는 천길 만길 벼랑으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138-286, 1986.01.24)

 교역자들은 지금 아들딸들을 키우고 있는데, 비양심적인, 양심의 가책을 받는 놀음을 하고, 혹은 공금을 함부로 쓰고…. 차라리 굶는 게 낫다는 겁니다. 굶으면 하늘과 땅이 동정합니다. 굶는 사람을 동정 안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자식도 굶을 때 먹여 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죽게 된 사람을 언제나 동정해 줘야 하는 것이 인정의 원칙이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살인범이 형장에서 사형을 당하게 될 때, 그에게 '너 마지막 소원이 뭐냐?'고 물으면서 그때만은 들어주잖아요? 그러니 슬프고 어려움을 당하는 사람을 동정해 줘야 되는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60-162, 1972.08.17)

 통일교회 간부들 가운데 공금이나 물질에 대한 것을 잘못 다루고 인정에 의해 자기 가정을 중심삼고 공금을 쓰며 심정적으로 유린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것은 자기 아들딸 앞에 독약을 배급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틀림없습니다. 사탄세계에서 이것이 걸리는 것입니다. 공금에 대해서는 어떻게 할 것이냐? 공적으로 어떻게 결정해서 처리할 것이냐? 앞으로 통일교회 교역자들은 일대 혁신을 해야 합니다. (46-95, 1971.07.25)

 영계법(靈界法) 가운데서 제일 무서운 게 공금 횡령과 공적인 사람 푸대접하는 것입니다. 제일 무서운 게 그겁니다. 책임자라든가 하나님이 보낸 사람을 푸대접하면 나라가 걸리고 세계가 걸리는 겁니다. (96-154, 1978.01.03)

 인간 생활에 있어서 물질을 소홀히 하지 말고, 공금을 잘 다뤄야 됩니다. 또 자기가 출세했다고 해서 사람을 마음대로 인사조치할 수 없는 겁니다. 공금을 잘못 다루면 하늘나라의 헌법에 걸리는 겁니다. 자기가 출세해서 들어간 곳에 자기 원수의 아들딸이 있다고 해서 딴 데로 뽑아 돌려서 죽을 자리에 보내게 되면 문제가 벌어집니다. (196-235, 1990.01.01)

 선생님이 공금을 쓸 때에는 전체를 염려하는 마음으로 씁니다. (19-266, 1968.02.19)

 앞으로는 공사(公私) 문제를 철저히 해야 되겠습니다. 공금은 사탄이 풀어 놓은 독약입니다. 그런 공금을 잘못 사용하다가는 망하는 것입니다. 그 공금으로 일은 벌어지는 것입니다. 간신도 거기에서 나오게 됩니다. 그것 때문에 나라가 망하기도 하고, 나라를 팔아먹기도 하는 것입니다. (33-172, 1970.08.11)

 내가 피땀을 흘려 벌어놓은 이 돈을 함부로 못 씁니다. 함부로 쓰는 날에는 팔족(八族)이 아니라 자기 선조까지 걸립니다. 무서운 겁니다. 하나님이 인(印)을 친 돈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무원들이 나라의 국고금(國庫金)을 잘라먹으면 벌을 받지만 하나님의 공인을 받은 하늘공금을 잘라 먹으면 천벌 받는 겁니다. (85-209, 1976.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