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ookmarks

2) 참의 기원

① '참'이란

 이 천지간(天地間)에 참된 분이 있다면 그분은 누구일 것이냐? 절대자입니다. 이 절대자를 오늘날 우리 한국말로 하면 '한 분밖에 없는 주인 양반'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밖에 없는 주인 양반을 더 줄여서 말하면 하나님이 됩니다. 한 분밖에 없는 주인 양반님이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은 어떤 분이냐? 하나님은 땅 위의 좋은 사람도 좋아하고, 나쁜 사람도 좋아합니다. 죄를 지어서 사형장에 나가 죽게 되는 사형수도 '하나님, 저를 불쌍히 보시옵소서!' 하고 죽습니다.
  그러면 어찌하여 하나님 앞에서는 나쁜 짓을 해서 죽어 가는 입장에 있는 사람도 좋은 마음으로 회생해서 희망의 재출발을 다짐하면서 그 하나님 앞에 최고로 기여하고, 또 의지하고, 그분과 더불어 있고 싶어하고, 내심으로는 부모와 형제를 떠나서 누구보다도 간절히 가까이에서 사정을 통하고 싶어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참되기 때문에 그러는 것입니다.
  참된 분은 좋아하는 사람만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죽으라고 하는 원수까지도 좋아해야 합니다. 그 앞에는 모든 것을 맡길 수 있고, 모든 것을 의논도 하고 싶고, 모든 것을 바랄 수도 있는 입장에 있는 사람이라야 참된 사람입니다.
  여러분은 지금까지 자라 나오는 과정에서 미운 사람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미운 사람이 있는 사람은 참된 사람입니까, 거짓된 사람입니까? 거짓된 사람입니다. 틀림없이 거짓된 사람입니다. 이 세계에는 거짓된 사람이 많습니다.
  참된 사람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양면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통일교회의 패들 중에서도 나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주 좋아하고 나를 미워하는 사람은 적극적으로 미워한다면 좋은 패입니까, 나쁜 패입니까? 나쁜 패입니다.
  그래서 나를 미워하는 사람도 좋아하자는 것입니다. 나를 미워하는 사람을 내가 좋아하면 그 사람도 좋아하는 것입니다. 나를 미워하는 사람에게 내가 세 번 이상 좋게 대해 주면 그가 고개를 숙이게 되는 것입니다. 세 번만 잘 해주면 고개를 숙인다는 것입니다. 그런가 안 그런가 한번 해보십시오. 사람에게는 양심이 있어서 자기가 잘못했는지 잘했는지 안다는 것입니다.
(39-302, 1971.01.16)

 여러분, 우리나라에는 좋은 사람이 많지요? 세상에는 훌륭한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위인(偉人)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위인은 누구입니까? '대한민국의 위인' 하면 대개 이순신 장군을 말합니다. 이순신 장군도 위인입니다. 여러분은 그 이순신 장군을 다 좋아합니다.
  그러면 이순신 장군이 참된 사람일까요, 아닐까요? 그건 모른다는 것입니다. 모르는데,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선생님은 그렇게 좋아하지 않습니다. 선생님이 이러니까 '이상하다. 저 분이 왜 저래? 우리나라의 충신을 싫어하다니! 그러면 저 사람은 공산당인가, 민족 반역자인가?' 할 지 모르지만, 선생님은 이순신 장군을 싫어합니다. 왜 싫어하는지 얘기하겠습니다.
  '이순신 장군' 하면, 한국 사람은 모두 충신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 사람들은 원수로 압니다. 일본 사람은 이순신 장군을 원수로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본의 역사책에도 밝혀져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일본 사람 앞에는 원수요, 한국 사람 앞에는 충신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생님은 그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참'이라는 것은 영국에 가도 참이요, 독일에 가도 참이요, 미국에 가도 참이요, 한국에 와도 참이요, 아프리카에 가도 참이요, 일본에 가도 참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참은 원수가 없는 것입니다. 참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없는 것입니다. 한 편에서는 좋아하고 다른 한 편에서는 싫어하는 것은 완전한 참이 못 되는 것입니다.
  이순신 장군이 완전한 '참사람'이라면 일본 사람도 한국 사람과 같이 위인, 참사람으로 숭배해야 합니다. 그러나 참된 사람의 기준으로 보면, 이순신 장군은 완전한 참사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조금은 참사람이 될 수 있지만 말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참사람이지만,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이의(異議)가 없을 것입니다. 선생님은 참된 사람을 원하기 때문에 이순신 장군처럼 덜 참된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 세상에서 참된 사람은 어떤 사람이냐? 앞에서 말한 것과 마찬가지로 나쁜 사람도 좋아하고 좋은 사람도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좋은 사람이 제일 좋아하는 사람을 나쁜 사람은 제일 미워해야 합니까? 나쁜 사람도 제일 좋아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여기에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이 섞여 있지만, 모두가 소망하는 것은 최고의 것입니다. 최고를 다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다 좋아한다는 것은 좋은 사람도 좋아하는 것이요, 나쁜 사람도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쁜 사람이라고 해서 나빠하면 참이 아닙니다. 나쁜 사람도 최고로 좋아하고 좋은 사람도 최고로 좋아해야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참된 사람의 정의입니다. 참된 사람이란, 나쁜 사람도 제일 좋아하고 좋은 사람도 제일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그런 양반이 있으면, 그 양반이 참된 분입니다.
(39-300, 1971.01.16)

② 참의 기원

 참이라는 것은 개인에게 한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전체를 넘고 넘어서 적용되고, 전체를 넘고 넘어서 가치적인 인연을 맺고자 하는 것이 참입니다. 참은 누구나 좋아하고, 누구나 찾는 것이기 때문에, 어디에나 있어야 된다는 말입니다. (63-88, 1972.10.08)

 우리는 개인의 목적을 위해서 모인 것이 아니라 전체의 목적을 위해서 모였습니다. 그러므로 자기 개인보다 가정을 위하고 가정보다 민족, 민족보다 국가, 국가보다 세계를 먼저 위해야 합니다. 또한, 자기 개인이 참되기 전에 가정이 참되어야 되고, 나아가서는 국가와 세계가 참되어야 합니다.
  인간은 자기 개체로서는 모든 복의 동기가 될 수 없는 복귀노정에 서 있습니다. 그러면 그 동기는 무엇이냐? 참입니다. 인간이 참된 모습을 이루려면 모든 생사화복(生死禍福)의 근원이 되시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어야 합니다. 그 관계를 맺지 않으면 인간 개체 내에서는 참된 모습을 이룰 수 없습니다.
  참은 반드시 하나님이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인간을 전체적으로 수습하고 주관할 수 있는 결정적인 기반을 갖게 될 때 참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 기반을 갖지 못하면 '참'이라는 명사는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참의 기원은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이 계심으로 말미암아 참이 이루어집니다. 하나님이 떠나게 될 때 참도 떠나게 됩니다. 거기에는 참이 아닌 악의 기원이 생기는 것입니다.
  참이 있어야 참된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이 계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소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이니, 선이니 하는 명사는 인간을 위주로 해서 세워진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위주로 해서 세워졌다는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더라도, 참은 인간이 마음대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즉, 타락한 인간이 마음대로 관리하는 그런 자리에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참이 우리를 주관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언제나 참 앞에 굴복해야 됩니다. 참을 세우고 거기에 순응해야 됩니다. 여러분의 현실적인 생활이나 양심을 살펴보더라도 참은 완전히 하늘에 속해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도리가 없을 것입니다.
(24-315, 1969.09.14)

 우리는 기도할 때 '참된 하나님, 하늘에 계신 거룩하신 하나님!'이란 말을 막연히 습관에 의해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에서의 참은 지금까지 없었습니다. 그것이 없었기 때문에 참의 기원은 인간들이 걸어 온 역사 배경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초월한 자리에 있는 것입니다. 거기에서 출발하는 것입니다. 즉, 그 기원은 환경을 초월한 자리에서부터 추구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종교는 사람을 중심삼고 믿고 나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교주를 중심삼고 신앙의 표준을 세워 놓고 나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초월한 입장에서 하나님을 개재시켜 참을 추구해 나오는 사람들도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볼 때, 역사과정을 거쳐 온 수많은 인간들의 생활노정에서나 현실 사회에서도 참의 기원을 갖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인간 자체들로 연결된 자리에서는 참의 기원을 마련할 수 없습니다. 참은 절대적인 기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 절대자, 혹은 신(神)이라는 명사가 여기에 등장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것은 왜 그러냐? 지금까지 땅 위에 참사람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을 지향하면서 사는 사람 자체로서는 참의 동기가 될 수 없습니다. 그 동기는 하나님이어야 합니다. 반드시 종교나 인류 역사상에 있어서 최후의 중요한 분기점(分岐點)에 가서는 신이 등장합니다. 절대자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철학이 추구하는 목표, 즉 진리를 통하여 최후의 목표를 두고 추구해 나가거나, 존재의 기원을 파고 들어가더라도 반드시 여기에는 신이나 초월자, 절대자라는 명사가 개재되는 것입니다. 그것은 왜 그러냐? 절대자와 관계를 맺지 않고는 어떠한 학문이나 존재 가치도 그 기원 문제가 해결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인간들이 심각한 자리에 가서는 반드시 참을 통해서 해결지으려고 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우리는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의 기원은 인간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절대자, 하나님이 개재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참을 주장하는 종교는 하나님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습니다. 참을 주장하는 인륜 도덕도 신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공자도 '순천자(順天者)는 흥(興)하고, 역천자(逆天者)는 망(亡)한다.'고 했습니다. 천(天)을 중심하고 한 말입니다. 반드시 하늘을 개재시켜야 합니다. 흥망성쇠(興亡盛衰)가 인간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하늘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사실을 두고 볼 때, 하늘이 동기가 될 수 있는 기원이 마련되지 않고는 참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이 땅에 살고 있는 인류 가운데 참된 사람이 있느냐 하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그러면 참이 머무를 수 있는 장소는 어디냐? 물론, 하늘을 기원으로 해서 참의 자리를 땅 위에 세우려고 하실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소원입니다. 그래서 어디에 머무를 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우리의 생활 주변에 머무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천국은 너희 안에 있다.'고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참된 나라인 천국은 마음속에 있는 것입니다. 아무런 사심이 없는 깊디깊은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 바탕을 분석해 보면 지·정·의(知情意)로 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어디에 머무를 것이냐? 지·정·의(知情意) 중에서 무엇이 근본이냐? 그것은 의(意)도 아니요, 지(知)도 아닌 정(情)입니다.
  여러분은 자기에게 제일 귀한 것이 있다면 그것을 어디에 두고 싶습니까? 자기만이 아는 곳에 두고 싶을 것입니다. 거기는 누구도 건드릴 수 없고 관여할 수 없는, 즉 자기만이 관리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곳이 어디겠습니까? 마음 깊은 곳입니다. 마음 깊은 곳에 묻어 두는 것입니다. '이곳이라면 안심하겠다!' 할 수 있는 곳에 두는 것입니다. 즉, 사람들이 흔히 귀중품을 넣어 두는 장롱 같은 곳에 두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참이 머무를 수 있는 곳은 자신의 마음 깊은 자리입니다.
(24-317, 1969.09.14)